전체 글218 김남열 시인 / 원願 . https://ebmagazin.tistory.com/notice/514 김남열 시인 /신간시집 산 - YES24 머리말 산으로 간다. 마음의 위안을 받으러 아니, 마음에 뭍은 티끌을 털로 간다. 구름 따라, 바람 따라, 그들이 온 길을 따라 마음껏 걸어본다. 만물의 영장이라고 불리는 인간이란 존 ebmagazin.tistory.com 2022. 9. 11. 시인 김남열 시집 '사랑과 평화'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2343854 사랑으로 향하는 징검다리 - YES24 머리말 징검다리는 사람들이 건너는 다리이다. 그 다리는 사람들이 필요에 의하여 놓인 다리이다. 시골에 가면 으레 강을 건너는 곳에 돌로서 놓여 있는 다리가 있다. 그것을 징검다리라고 한다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2343853 는! 은! 이! - YES24 우리 인간이란 존재가 자연 속에서 자연인이 되어 자연과 더불어 살며 삶에 순응하며 그 속에서 보람을 느끼며 행복을 가진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존재이다. 그러나 재앙은 만물의 영장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 2022. 9. 1. 시인 김남열 부처 https://kimnameul.tistory.com/169 시인 김남열 시집 '사랑과 평화를' .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1192539226&orderClick=LAG&Kc= 죽은 지성인의 사회 머리말 지성인知性人이 사라진 사회는 죽은 사회이.. kimnameul.tistory.com 2022. 8. 28. 도서출판 여여심 https://kimhaun.crayon5.com/ 도서출판 여여심 시.수필.평론집 소개 kimhaun.crayon5.com 2022. 8. 28. 시인 김남열 '죽은 지성인의 사회' .. 머리말 지성인知性人이 사라진 사회는 죽은 사회이다. 그 지성을 지닌 사람은 배움이 많고 적음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통찰의 ‘의식意識’에 있다. 그 의식은 경험과, 다양한 습관과, 다양한 환경에서 습득될 수 있다. 그러기에 통찰에 대한 의식이 없는 사회는 죽은 사회인 것이다. 지성적 의식이 죽으면 저항할 줄 모르며, 의로움이 없으며, 개개인은 하나같이 무감으로 중독되어 그저 그렇게 살아가며, 생존의 위험이 다가와도 느끼지 못한다. 지성은 집안의 대들보처럼 사회를 바르게 이끌어가며 행복하고 평화롭게 살기 위한 인간의 살아있는 역동적인 의지이다. 기운氣韻이 없으면 사람은 사람으로서의 구실을 못하듯 사회라는 인격체도 그 구실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풍토가 바르게 조성되어야 한다. 그 풍토가 사회의 기운氣.. 2022. 8. 24. 월간 시인 김남열 2022년 9월[제6호] https://poemnews.tistory.com/156 시인 김남열 시집 '사랑과 평화를'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99500369 [전자책] 내 가슴속에 당신 머리말brbr 사랑하는 사람은 옆에 있어도 그립다. br 그래서 더욱 사랑한다.br 진정으로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느.. poemnews.tistory.com 2022. 8. 16. 월간 뉴스 시인 2022년 9월[제33호] . https://poemnews.tistory.com/156 시인 김남열 시집 '사랑과 평화를'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99500369 [전자책] 내 가슴속에 당신 머리말brbr 사랑하는 사람은 옆에 있어도 그립다. br 그래서 더욱 사랑한다.br 진정으로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느.. poemnews.tistory.com 2022. 8. 15. 시인 김남열 시집 '사랑과 평화를' ....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1192539226&orderClick=LAG&Kc= 죽은 지성인의 사회 머리말 지성인知性人이 사라진 사회는 죽은 사회이다. 그 지성을 지닌 사람은 배움이 많고 적음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통찰의 ‘의식意識’에 있다. 그 의식은 경험과, 다양한 습관과, 다양한 digital.kyobobook.co.kr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99500369 [전자책] 내 가슴속에 당신 머리말brbr 사랑하는 사람은 옆에 있어도 그립다. br 그래서 더욱 사랑한다.br 진.. 2022. 8. 11. 시인 김남열 시집'사명을 띠고 세상에 왔다' . 머리말 인간은 이 땅에 올 때 사명使命을 띠고 태어난다.그 사명으로 인하여 세상은 양적 질적으로 발전해 간다. 그 사명은 다양하다. 부모로서의 사명, 자식으로서의 사명, 부부로서의 사명, 더 나아가서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사명, 국가에 대한 국민으로서의 사명이 있다. 이렇게 인간은 그 사명의 섭리를 지키며 역행 하지 않고 사람답게 살다가 생을 마감하는 것이다.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나서 나와 이웃과 사회에 공헌하며 일조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것을 바른 삶이라고 하며 그 바른 삶이 사람다운 삶이다. 그러나 사람은 바른 삶만 사는 것이 아니다. 역행 하는 삶을 사는 사람도 있다. 바른 삶과 그렇지 않은 삶이 공존하면서 사회는, 국가는 미래로 나아간다. 하지만 우리는 바른 삶을 살.. 2022. 8. 8. 시인 김남열 시집[세상을 보는 눈] .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1192539202&orderClick=LAG&Kc= 사명을 띠고 세상에 왔다 머리말 인간은 이 땅에 올 때 사명使命을 띠고 태어난다. 그 사명으로 인하여 세상은 양적 질적으로 발전해 간다. 그 사명은 다양하다. 부모로서의 사명, 자식으로서의 사명, 부부로서의 사명, digital.kyobobook.co.kr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1192539196&orderClick=LA.. 2022. 8. 7. 시인 김남열 감성시집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1389085 십년은 젊어지는 비결 - YES24 머리말 사람이라면 누구나 장수하기를 원한다. 옛날 사람이나, 지금 사람이나 그것은 시대를 초월해서 가지는 바램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불로초를 먹으면 불로장생 하리란 생각에 불로초를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1153715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 없기를 - YES24 머리말 우리가 이 세상에 와서 재미있게 살다가 당당하게 하늘가는 것은 어떠한 모습일까? 당연히 올 때 오염되지 않은 순수하고 고귀한 어머님 품속에서 왔으니 갈 때에도 순수한 모습으로 떠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 2022. 8. 4. 정치와 권력 / 김남열 시집 "이 시대에 정치를 하는 하는 사람들과 국민들이 꼭 읽어야 할 시집" 머리말 자본적 민주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정치와 함께한다. 그것은 국민의 투표를 통하여 국민을 이끌어 갈 사람들을 선출하기 때문이다. 그 선거를 통해 국민이 참여 하는 그 자체가 정치이다. 그러기에 인간은 정치에 무관심 하더라도 정치에 자유로워 질수가 없다. 또한 선거에 의하여 선출 된 사람은 국민의 민의를 바로 정치에 적용시켜 국민이 행복하게 살 수 있게 정치를 해야 한다. 하지만 국민들의 뜻을 받들지 않고 선출 된 순간부터 잿밥에 관심을 두고 의리를 저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선거를 통하여 정치를 하는 순간부터 힘을 얻기 때문에 그 국민에 의해 주어지는 힘을 얻기 위해서 선거 이전에는 온간 허언을 늘어놓는다. 어리석게 그것을 믿는 것.. 2022. 8. 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9 다음